- Published on
MFA 구축하기 - 2. 모노레포 패키지 매니저 편
패키지 매니저
프로젝트가 의존하고 있는 패키지를 효과적으로 설치, 관리, 갱신, 삭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 대표적으로 npm, yarn이 있지만, 모노레포 아키텍쳐에서는 다수의 프로젝트의 의존성에 대해 중복, 사이즈 최적화 등 복합적인 관리가 필요해 그에 따른 추가적인 패키지 매니저 설정이 필요함.
패키지 매니저가 필요한 이유 = 모노레포 도입시 고려가 필요한 사항
branch
- 패키지별 명확한 CI/CD 분리.
- 변경된 부분만 개별적으로 배포.
- 프로젝트별 자유로운 branch 전략.
독립적인 환경 제공
- 프로젝트별 자유로운 버전관리.
- 프로젝트 생성과 의존성 추가의 자유.
- 패키지별 환경변수 개별 관리.
- 각 패키지는 독립적이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어선 안됨.
disk space & performance
- monorepo 전체 프로젝트를 모두 clone시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해결 방법 필요.
- 별도의 remote codespace를 두어 로컬에는 필요한 프로젝트만 설치.(github codespace - 비용 발생)
- git sparse checkout(git 2.25.0부터 제공)
기타
- 코딩 컨벤션을 위해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가이드 라인(보일러플레이트) 필요.
모노레포 의존성 이슈 example
root
|- node_modules
|- project1
|_package.json
|- project2
|_package.json
|- project3
|_package.json
|- project4
|_package.json
|- project5
|_package.json
|_ package-lock.json
문제점
- 위와 같은 모노레포 구조에서 package-lock.json이 변경 되지 않았을 경우 설치를 생략하도록 캐시 설정을 했더라도, lockfile은 프로젝트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의존성만 변경되더라도 모든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새로 설치하되어 리소스 비효율이 발생. 또한 프로젝트가 늘어날 수록
node_modules
의 크기가 비대해져 빌드 머신의 disk space 비용이 증가.
해결 방안
- 각 프로젝트의 workspace 별로
package-lock.json
역할을 대신할 캐시 키를 소유. node_modules
자체의 중복을 최적화 & 압축하여 크기를 줄임.
패키지 매니저의 종류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패키지 매니저를 알아보자.
- yarn berry pnp
- pnpm
yarn berry(yarn2)
- typescript 기반으로 작성되어 완전한 type check 가능.
- Plug'n'Play
- 기존의 로컬
node_module
폴더 대신 패키지를 캐시 폴더에 저장하고.pnp.cjs
파일에 의존성을 기록..pnp.cjs
를 통해 패키지가 어떤 라이브러리에 의존하는지, 각 라이브러리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추적.
- 기존의 로컬
- zip file system
- yarn pnp 시스템에서 각 의존성을 zip 아카이브로 관리하기 때문에 기존
node_module
은 디렉토리 구조를 생성할 필요가 없음. - 모 서비스 의존성 압축 결과
- yarn pnp 시스템에서 각 의존성을 zip 아카이브로 관리하기 때문에 기존
- 로컬
node_module
폴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새로 저장소를 복사하거나 브랜치를 복사하더라도yarn install
생략 할 수 있고,CI
의 의존성 설치 시간을 대폭 단축 가능. - Zero Install
- zero install은 yarn berry에만 있는 기술이라기보단 개념에 가까움.
- 의존성이 zip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git에도 올릴 수 있게 되면서, git clone 이후 별도의 설치 없이 바로 사용 가능.
- 단점
- pnpm 대비 러닝커브가 있음.
- 의존성 변화에 대한 기록이
.git/objects
남게되기 때문에 git history에 지속적인 부하 발생. git history 관리도 가능하지만 이건 오버 엔지니어링이 될 가능성이 있음. - turborepo 사용시, yarn berry의 pnp모드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 캐시 관리 필요.
pnpm
- yarn berry 대비 적은 러닝커브
- 빠른 install 속도
- pnpm benchmark 자료
- Plug'n'Play(PnP) 지원
- turborepo와 좋은 시너지. pnpm의 기능들을 fully 지원.
- content-addressable file store
- 전역 저장소에 의존성을 저장하는 방식.
- 각각의 의존성 파일에 hash id를 부여해 관리. 중첩된 패키지는 동일한 hash id가 부여되어 중복 설치를 방지.
- 의존성 호이스팅으로 인한 팬텀 디펜던시가 발생하지 않음.
- 프로젝트마다
node_modules
폴더에 symbolic link를 만들어 연결하기 때문에 의존성 install을 할 필요가 없음.
- 단점
- 비교적 최신 패키지 매니저라 일부 작동하지 않는 패키지가 있을 수 있음.
- but,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패키지는 대부분 지원하기 때문에 큰 이슈는 없을듯.
- yarn berry 대비 레퍼런스가 적어 문제 발생 시 해결하기 어렵울 수 있기 때문에 커스터마이징이 적게 필요할 경우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생각.
- 비교적 최신 패키지 매니저라 일부 작동하지 않는 패키지가 있을 수 있음.
pnpm을 선택한 이유
- 비교적 적은 러닝커브. 효율적 학습을 위해.
- 처음 monorepo를 도입해보기 때문에 좀 더 쉬운 설정으로 구축할 수 있는 pnpm을 선택.
- 실제로 사용을 하며 custom이 필요한 사항들을 check 해가며 yarn berry와 비교 예정.
- turborepo 사용.
- yarn berry pnp mode를 지원하지 않아 yarn berry의 nodeLinker를 이용해야하나, pnp mode가 핵심 기술이라 yarn berry를 사용하는 이유가 퇴색됨.
- 직접 이슈를 겪진 못했지만, 실제 현업에서 모노레포를 사용중인 선발대 분들의 의견이나 캐싱 관리를 따로 해주어야한다는 점에서 오버 엔지니어링이 되는 부분에 있어서 공감.
- 패키지 매니저는 아니지만, 모노레포는 많은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아키텍쳐인 만큼 빌드 시스템도 도입이 필요하다라고 생각해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
- yarn berry pnp mode를 지원하지 않아 yarn berry의 nodeLinker를 이용해야하나, pnp mode가 핵심 기술이라 yarn berry를 사용하는 이유가 퇴색됨.
이어지는 포스트
- MFA 구축하기 - 1. 레포지토리 환경
- MFA 구축하기 - 3. 모노레포 pnpm, turborepo 설치 & 설정
- MFA 구축하기 - 4. 모듈 페더레이션(작성 예정)
- MFA 구축하기 - 5. 모듈 페더레이션 심화(작성 예정)